[만물상] '6·25 까막눈'
김동섭 논설위원
▶작년에 한 월간지가 초등학교 어린이 3660명에게 "6·25가 일어난 시대를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현대 중에서 고르라"고 했더니 37.8%가 조선시대를 택했다. 삼국시대 5.5%와 고려시대 7.4%까지 합치면 절반 이상이 6·25가 왕조시대 전쟁이라고 한 것이다. 교사들은 교과서에서조차 6·25를 자세히 다루지 않아 생긴 현상이라고 말한다.
▶6·25의 원인은 초등학교 6학년이 돼서야 사회교과서에 처음 나온다. '북한은 남한을 무력으로 통일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 그 전까지는 '남과 북으로 갈라져 살고 있지만 우리는 한겨레입니다'(2학년 바른생활)라는 식으로 안보보다 통일 지향으로 돼 있다. 고1 도덕교과서도 "1950년 발발한 6·25전쟁을 통하여…"라고 서술하며 남침 얘기는 꺼내지도 않는다. 한 학자는 "전쟁 원인과 전개과정을 설명하면 전쟁책임론을 거론할 수밖에 없어 학생들이 북한에 적개심을 갖게 된다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말한다.
▶북한 소학교 3학년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원수님의 어린 시절' 교과서는 "1950년 6월25일 미제 침략자들과 그 앞잡이 놈들은 우리나라에서 전쟁을 일으켰습니다"로 시작한다. 중학교 6학년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교과서는 "미제는 면밀한 계획과 준비에 기초하여 6월25일 우리 공화국을 반대하는 침략전쟁을 도발하였다"고 돼 있다.
▶이번 조사에서 중·고교생 57.1%가 안보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로 미국이나 일본을 꼽았다. 북한은 24.5%에 그쳤다. 미국은 6·25 때 5만4000여명이나 전사했지만 우리 청소년들은 미국을 북한과 똑같이 적대시하고 있다. 2004년 '주적(主敵)이 누구냐'는 질문에 육사 입학생 중 34%가 미국, 33%가 북한을 꼽은 것이 우연이 아니다. 전교조와 좌파세력이 교실에 역사 왜곡의 씨를 뿌려댄 결과다. 통일교육에 밀려난 6·25를 제대로 가르치는 것이 시급하다. 출발점은 교과서 개편이다.
더구나 북한이 핵 신고를 하고 미국이 즉시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진 26일은 교토(京都)에서 주요 8개국(G8) 외교장관 회의가 열리는 날이다. 일본으로서는 ‘최악의 타이밍’이 될지도 모른다.
일본은 일단 미국이 해제 절차에 들어가는 것을 용인할 듯하다. 24일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외상은 “미국이 북한을 지정 해제하려 한다면 이를 납치 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하는 카드로 활용했으면 한다”고 말해 상황에 따를 것임을 시사했다. 사실 일본으로서는 달리 방도가 없기도 하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미국의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북핵 문제 해결이라는 외교적 성과를 얻기에 급급해 납치 문제를 외면할지 모른다고 우려해 왔다.
막상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자 일본 내 반응은 혼란스럽다. 미국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한편으로 “일본은 북-일 국교 정상화 후의 경제협력 등을 미끼 삼아 독자적인 힘으로 대북 외교를 전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주일 후 홋카이도(北海道) 도야코(洞爺湖)에서 열릴 G8 정상회의에서도 북한 문제가 의제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 사이 핵 폐기를 위한 6자회담 과정이 진행돼 각국 정상이 이를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일 경우 일본이 ‘납치 문제’를 어떻게 이슈화할 수 있을지도 난제다. 요미우리신문은 ‘미국 정부가 서둘러 지정 해제에 나서면 미일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은 미국 정부가 지정 해제를 미 의회에 통보하고 발효되기까지의 45일간에 주목하고 있다. 이 사이 일본이 어떤 형태로 6자회담과 북-일 관계를 진척시킬 것인지가 당면한 문제의 초점이라는 것이다.
일본 정부로서는 그동안 납치 문제를 내세워 온 체면이 걸려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사회에서 ‘북핵 문제 해결의 발목을 잡는다’는 비난만은 피하고 싶은 생각도 있다. 이런 틈바구니에서 일본 정부가 앞으로 취할 행보가 주목된다.
나아가 이 같은 상황이 빚어진 데는 북한에 대한 일본의 뿌리 깊은 불신감이 있다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 할 듯하다. 북한이 과연 이런 국제사회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서영아 도쿄 특파원 sya@donga.com
'알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제관련 포토뉴스 ☜┛ (0) | 2008.07.02 |
---|---|
讀者告發>저는 촛불集會現場에 가보았습니다 (0) | 2008.06.30 |
★ '李 大統領--정정길 室長' 거리의 因緣, 靑瓦臺로 ▲ (0) | 2008.06.26 |
151층 쌍둥이빌딩 仁川타워 첫삽 (0) | 2008.06.26 |
美쇠고기‘追加 合議’以後. 깃발’이‘촛불’덮었다 (0) | 2008.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