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1이당 인구
국회의원 1인당 인구 파장을 앞둔 18대 국회를 향해 국민적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다. 일은 안 하고 제 밥그릇만 챙기는 우리 국회의원들의 고질병을 정치개혁특위(위원장 이경재 의원)는 선거구 획정 작업을 하면서 지역구 통폐합이라는 헌법의 권고를 무시하고 오히려 지역구수를 늘리는 후안무치의 행태를 보였다. 미처리 법안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지만 이미 선거전에 뛰어든 국회의원들이 언제 이 숙제를 할지는 불투명하다. 는 국민 감정에 불을 질렀다. 대한 뜨거운 호응이 쏟아지고 있다. 국회에서 의원 발의나 정부 제출로 접수된 전체 법률안(1만3765건) 의 47.9%에 이르는 숫자다. 이 서랍 속에서 잠을 자고 있다.(정부 제출 법안은 전체 1688건중 24.9%인 420건이 미처리) 잠자고 있는 법안 중에는 최근 논란이 된 대학기성회비 문제를 해결할 ‘국립대학 재정 회계법’ 같은 긴급한 것 들도 있다. 방치돼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법안이 2월 임시국회에서 통과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자체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다. 특히 국회의원한테 들어가는 엄청난 세금을 생각하면 더욱 분통이 터 진다. 1036만6443원씩 받는다. 2010년까지만 해도 국회의원 세비는 986만 9733원이었지만 작년에 5.1%를 인상하면서 억대 연봉자가 됐다. 1인당 2만원)과 자녀학비보조수당(분기당 고등학생 44만6700원, 중학생 6만2400원)도 신설했다. 보장연금도 받는다. 연간 1억5000만원, 선거 때는 3억원까지 정치후원금 도 걷을 수 있다. 보좌관과 5급 비서관 각 2명, 6급·7급·9급 비서 각 1명 등 모두 7명의 보좌진 을 둘 수 있다. 이들에게 드는 인건비는 연간 3억8000여만원 이다. 국회의원 299명 전체로 치면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이다. 다 합하면 의원 한 사람에게 들어가는 돈이 매년 5억원을 훌쩍 넘는다. 선거비용(약 3000억원)까지 고려하면 국회의원 유지비용은 어마어마하다. 그런데 이 ‘세금 먹는 하마’가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소식이 날아들었다. 일본에서도 월 129만4000엔(약 1940만원)의 세비가 너무 많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이번 세비 삭감은 소비세 인상에 따른 서민들의 아픔을 고려한 조치라고 한다. 생산성이 높다. 인구 대비 의원 수부터 적기 때문이다. 일본의 중의원 지역구 의원은 300명으로 우리의 지역구 의원(245명)보다 많지만 국회의원1명이 대표하는 국민 수가 일본은 26만명인 데 반해 우리는 16만2000명에 불과하다. 이 숫자만 비교하면 우리의 국회의원 수가 일본보다 60% 정도 많은 셈이다. 대표한다. 인구 3억1000만명의 미국은 이 하원의원 수 자체를 435명이내라고 못 박아 놓고 있다. 미국은 1911년 이후 하원의원 수에 변화가 없다. 대표성도 각각 37만명, 21만명에 이른다. 분명 우리는 인구 대비 최다 의원 국가군에 속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국회의원수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 줄이기를 기대하는 게 난망하다. 급기야 국회 정치개혁특위 선거법 소위원장인 주성영 의원이 2월 1일 유권자들(부산 기장구 단독선거구 쟁취위원회)로부터 직무유기 혐의로 서울 남부지검에 고발당하기에 이르렀다. 지역구 의원 수를 가급적 줄이지 않는 묘수를 짜내느라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주·이천, 천안을 등 8개 선거구를 분구 또는 신설하되, 노원, 성동, 부산남구, 여수, 대구달서 등 5개 선거구는 통폐합하는 안을 마련했다. 비율을 3 대 1로, 이에 따른 지역구 인구 상한선을 31만406명, 하한선을 10만3469명 으로 정한 데 따른 조정이었다. 시도하며 곳곳에서 반발을 사고 있다. 선거구를 통폐합하지 않은 채 경기도 파주시와 강원도 원주시를 갑·을 지역으로 나누고 세종시를 신설하는 데 합의했다. 민주통합당 소속이고 세종시는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선진당 몫인 셈이다. (현행 54→51석)를 줄여 전체 의원 수는 유지키로 합의했다고 한다. 10만4342명) 기준으로 용인기흥구(3.52 대 1), 천안을(3.04 대 1), 용인수지(3.03 대 1), 이천·여주 (3.01 대 1) 등 인구 편차가 위헌 기준을 넘는 지역구가 속출하게 된다. 등 무리수를 시도하고 있다. 지역구와 최대 지역구의 비율 3 대 1이라는 기준도 더 조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강하다. 인구차가 2 대 1, 독일은 1.3 대 1 수준까지를 합헌으로 인정하는 등 우리보다 기준이 엄격하다. 인구격차도 상당기간이 지나면 인구 비율 2 대 1을 기준으로 위헌 여부를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국회의원수를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치에 차이가 커져 불평등한 만큼 위헌’이라고 판결함에 따라 인구 편차가 두 배를 넘는 지역구 조정작업에 들어갔다. 의원수도100명으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일본 민주당 정부는 480명인 중의원 정원을 395명으로 줄이는 공직 선거법 개정안을 이번 정기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줄이자는 의견이 제시돼 호응을 얻고 있다. 의견을 제시했는데, 이는 급속도로 리트윗되며 트위터를 달구고 있다. 예병일 대표는 “국민이 나서서 국회의원 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회의원의 손에서 빼앗아와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가능한 정치가 되도록 해야 한다”며 “정치인에게 맡기면 답이 쉽게 안 나오는 것인 만큼 선거구 획정작업을 민간 등 외부에 위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많다고 볼 수는 없지만 직능 대표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현실을 감안해 지역구는 줄이고 비례대표는 늘리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결국 지역구 조정은 법을 만드는 국회의원의 손을 거쳐야 하는데 국회의원 수를 줄이자고 하면 지역구가 아닌 비례대표를 줄여 오히려 개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End_mark] |